Fall Detection (낙상 감지)
개발 동기
- 장애인 및 노인 등 낙상 사고 발생 시 건강에 치명적일 수 있음
- 등산객 실족으로 인한 낙상 사고 발생 시 대처 어려움
- 교통 사고 등 사고 환자의 신속한 응급 처치 필요
- 시각장애인, 장애 발생 후 골절·우울증 등 발생 위험 높아져
- 낙상·감전...경기도교육청 '학교 안전사고 예방' 정책연구
- 경북소방 119항공대, 인명구조 최전선에서 눈부신 활약
- 후유증 큰 교통사고, 골든타임 놓치면 ‘고통사고’ 된다
관련 신문 기사
서비스 개요
- 낙상 사고 발생을 감지하여 사고자의 위치 / 사고 발생 시각을 관청(119)에 알림
서비스 구현
기능 요소
- 사고 발생 패턴 생성을 위한 '사고 패턴 제너레이터'
- 사용자 디바이스를 이용한 1차 사고 판단
- 중앙 서버를 이용한 2차 사고 판단
- 1차, 2차 사고 판단 결과 낙상 감지 시 사고자의 위치 / 사고 발생 시각 reporting
System 구성
- 사고 패턴 제너레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디바이스 및 중앙 서버의 사고 판단 모듈 트레이닝
- 사용자 디바이스에자 1차 사고 판단 결과를 중앙 서버로 reporting
- 중앙 서버에서 사고 여부 2차 판단
- 사고 감지 시 관청 등에 reporting
서비스 검증
Check List 작성하여 기능 검증
개발 과정
project management tool(redmine)을 사용하여 개발 과정을 기록하였습니다.
redmine